레이블이 드라마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. 모든 게시물 표시
레이블이 드라마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. 모든 게시물 표시

[10-1]드라마는 어떻게 기획되는가?

🎬 드라마는 어떻게 기획되는가?

재미와 감동 사이에서 탄생하는 드라마의 설계 전략은 무엇일까요?

텔레비전 드라마는 어떻게 만들어질까? 우리가 매일 밤 감정 이입하며 시청하는 드라마, 그 시작은 ‘기획’에서부터 출발한다.


🟢 기(起): 드라마 기획, 왜 중요한가?

드라마는 단순한 이야기 그 이상이다. 매회 시청자를 울리고 웃게 만드는 이 매체는 강력한 감정의 레버리지다. 그렇기에 ‘어떤 이야기를 어떻게 풀어낼 것인가’에 대한 기획의 정교함은 드라마의 성패를 좌우한다.

기획 단계에서 중요한 것은 단 두 가지다:

  • 재미: 유머와 반전, 독특한 캐릭터로 시청자를 붙잡는다.

  • 감동: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현실적인 갈등과 성장의 서사.

예를 들어, 인기 드라마의 대부분은 눈물과 웃음을 교차시켜 감정의 롤러코스터를 만든다. 바로 이 교차 설계가 기획의 핵심이다.


🟡 승(承): 텔레비전 드라마의 구조적 특성과 분류

📺 드라마는 어떤 특성을 갖는가?

드라마의 기획은 텔레비전이라는 매체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.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요소가 있다:

특성 설명
🕰 일상성 반복되는 포맷으로 시청자의 루틴에 스며든다
🔗 비독립성 회차 간의 연결성 유지 (시청자 유입 유도)
🧠 현실성+비현실성 현실 공감 + 환상적 탈출구의 균형
😭 카타르시스 갈등 → 해소 → 감정 정화 구조
🎥 클로즈업 중심 인물 감정에 집중하는 영상 연출
🤝 팀워크 시스템 작가, PD, 배우 간 유기적 협업 필요

이러한 특성은 제작 시스템과 스토리 설계 전반에 반영된다.


📊 방송 형태에 따라 달라지는 드라마 유형

드라마는 방송 시간, 포맷,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. 대표적인 분류는 아래와 같다:

분류 설명
📆 일일연속극 매일 방영, 가정 중심 이야기
🗓 주간연속극 월화, 수목, 주말 등 주 2회
🎭 시추에이션 드라마 에피소드마다 다른 이야기, 유쾌함 강조
🎬 단막극 1회 완결, 예술성과 실험성
🎉 특집극 명절·기념일 맞춤형 기획
📚 대하드라마 역사 중심, 장기 프로젝트
🧩 미니시리즈 10~20부작 집중 전개형

각 분류마다 기획 방식과 캐릭터 구성, 이야기 밀도가 달라지므로, 초기 설계가 매우 중요하다.


🔵 전(轉): 드라마는 '성격'에 따라 더 달라진다

단순히 방송 시간만으로는 드라마를 구분할 수 없다. 드라마가 어떤 메시지를 전달하느냐에 따라 장르적 성격도 뚜렷하게 나뉜다.

성격별 분류 특징
🏠 홈드라마 가족 이야기, 따뜻한 일상 중심
📰 사회극 사회 문제, 정치·경제 갈등 반영
❤️ 멜로극 사랑과 이별, 감정선 중심의 전개
🏯 역사극 실제 사건과 인물 기반의 서사 구조
🎯 목적극 교육, 계몽 등 의도적 메시지
🧠 심리극 인간 내면 탐구, 정서적 밀도 강조

이러한 성격 분류는 ‘누구를 위한 드라마인가’라는 타깃팅과 직결된다. 기획자는 타깃 시청층의 취향을 분석하여 주제를 설계해야 한다.


🔴 결(結): 결국, 드라마는 기획이 전부다

많은 사람들이 드라마의 성공 요인을 연출이나 연기에 두지만, 그 출발점은 언제나 기획이다.
스토리의 밑그림, 캐릭터의 상호작용, 갈등과 해소의 구조 모두 기획자가 설계한 세계관 안에서 움직인다.

📌 좋은 드라마는 다음 세 가지를 만족시킨다:

  1. 이야기에 빠져들게 만든다 – 재미

  2. 눈물을 흘리게 만든다 – 감동

  3. 나도 저럴 수 있을까?를 생각하게 한다 – 공감

기획이 튼튼한 드라마는 시간이 지나도 회자된다.
지금 우리가 빠져 있는 그 이야기, 누군가의 치밀한 기획으로부터 출발했다는 걸 기억하자.


✍️ 마무리 요약

항목 핵심 키워드
기획의도 재미, 감동, 공감
제작 특성 일상성, 동시성, 팀워크
방송형태 일일극, 주간극, 단막극, 대하드라마
장르 성격 홈드라마, 사회극, 멜로, 심리극 등

파란색 버튼

[기획06-1] 드라마와 다큐멘터리 촬영 준비의 모든 것: 장면 분석부터 예산

🎬 드라마와 다큐멘터리 촬영 준비의 모든 것: 장면 분석부터 예산편성까지

🎥 메타 설명 (Meta Description)

촬영 전 반드시 알아야 할 장면 분석, 씬 리스트, 샷 리스트, 촬영 계획표, 예산편성 방법까지! 드라마와 다큐멘터리 제작 준비에 필요한 A to Z 가이드를 확인하세요.


🎬 장면 분석표란 무엇인가요?

장면 분석은 완성된 대본을 세밀하게 쪼개어 촬영에 필요한 요소들을 분류하고 기록하는 과정입니다. 이를 통해 촬영 장소, 시간, 등장인물, 의상, 분장, 소품, 음악, 특수효과 등을 체계적으로 준비할 수 있습니다.

✅ 장면 분석표(Breakdown Sheet)의 주요 항목

  • 신 번호
  • 장소 / 시간
  • 주요 내용
  • 등장 인물
  • 의상 / 소품 / 분장
  • 촬영 조건 (낮/밤, 실내/야외 등)
분석표: # 페이지 수: 날짜:
제작사:
프로젝트 제목:
장면 #: 장면 이름: 실내/실외: 낮/밤:
대본 페이지: 촬영 장소:
설명:
출연진(빨간색) 스턴트(주황색) 엑스트라/분위기(녹색)
조용한 엑스트라(노란색)
특수 효과(파란색) 소품(보라색) 차량/동물(분홍색)
의상(원형) 메이크업/헤어(* 별표) 음향 효과 및 음악(갈색)
특수 장비(사각형 테두리) 제작 노트(밑줄)

🗂️ 씬 리스트(Scene List)란?

장면 분석표들을 촬영 순서에 따라 배열한 리스트가 바로 씬 리스트입니다. 이는 촬영 일정 수립의 기초 자료가 되며, 모든 제작진이 참고하는 필수 문서입니다.


🎯 샷 리스트(Shot List)란?

샷 리스트는 각 씬을 어떻게 촬영할지를 구체적으로 정리한 계획표입니다. 한 장면 내에 필요한 여러 개의 컷을 리스트로 구성하여, 촬영 시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.

📸 샷 리스트에 포함되는 항목

  • 씬 번호 및 샷 번호 (예: 12-A, 12-B)
  • 카메라 앵글 (클로즈업, 미디엄, 와이드 등)
  • 카메라 무빙 (팬, 틸트, 트래킹 등)
  • 대사 또는 동작
  • 소요 시간
  • 음향/음악/특수 효과
  • 추가 비고 (예: 스테디캠 사용, 드론 촬영 등)

샷 리스트는 촬영감독과 연출팀 간의 커뮤니케이션 툴로도 쓰이며, 영상의 리듬감과 감정선을 미리 설계할 수 있는 창작 도구입니다.


🗓️ 촬영 계획표(Shooting Schedule) 구성법

촬영 계획표는 촬영 날짜별로 어떤 장면을 어디서 어떻게 찍을지 정리한 스케줄표입니다. 모든 스탭이 참고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작성되어야 하며, 다음과 같은 항목을 포함합니다:

✅ 촬영 계획표 구성 요소

  • 주요 스탭 및 연락처
  • 촬영 날짜
  • 회차 / 씬 넘버
  • 촬영 장소 (세트: S / 로케이션: L)
  • 낮/밤 구분
  • 등장 인물
  • 소품, 의상, 분장
  • 기타 특이사항 및 도착시간

🎥 장르별 촬영 계획 차이점

📺 드라마

  • 대본 기반의 연기 재현

  • 장면의 내러티브 흐름 유지가 중요

🎞️ 다큐멘터리

  • 주제와 구성안에 따라 유연한 촬영

  • 인터뷰, 스케치, 현장감이 중요

  • 출연자 일정과 장소 사전 조사 필수


💰 촬영 예산편성 핵심 가이드

예산은 프리프로덕션 – 프로덕션 – 포스트프로덕션 단계별로 구분되며, 항목별 세부 계획이 필요합니다.

영상콘텐츠 제작계획

📋 주요 예산 항목

  • 프리프로덕션: 기획비, 대본비, 연출비, 출연료 일부

  • 프로덕션: 촬영 인건비, 장비 대여비, 조명, 미술, 세트, 의상, 소품, 분장, 운송, 식비 등

  • 포스트: 편집비, 음악 저작권료, 특수영상비, 보충촬영비


🎯 예산 책정 실무 팁

  • 촬영 감독 인건비는 경험과 장비 사용량에 따라 달라짐

  • 촬영 보조 인원 수는 프로젝트 규모에 따라 구성

  • 촬영 장비는 구매 or 대여 여부 고려

  • 샷 수, 씬 수에 따라 데이터 매니저 예산도 필수

  • 보충 촬영 예산도 예비 확보


🛡️ 촬영 중 사고 대처법

  • 경미한 사고: 병원 후송 및 저예산 처리

  • 중대한 사고: 보험처리 및 인건비 지급 후 마감

  • 장비 파손: 보험 적용 / 일부는 소품비로 해결


📌 결론: 좋은 촬영은 준비에서 시작된다

촬영은 즉흥이 아니라 계획의 예술입니다.
장면 분석 → 씬 리스트 → 샷 리스트 → 촬영 계획표 → 예산편성의 흐름을 제대로 잡아야 촬영장에서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진행이 가능합니다.

특히 샷 리스트의 디테일한 설계는 작품의 완성도를 높이는 핵심입니다. 프리프로덕션의 성공이 곧 프로덕션의 성공이라는 사실을 기억하세요.

처음으로


네이버 블로그 참조:i2cast